*기본 확인
Movie메뉴에서 Tuntable클릭 - 돌아가면서 자동저장

Play Movie로 확인  -- 로고삽입 메뉴바 함께 캡처됨을 확인.

Delete삭제하면 저장하겠냐는 옵션 -- 취소하면

Doc Window버튼 다시 활성화된다 - 선택 후 다시 Turntable후 Play Movie  --> Doc로 해야 화면만 캡처된다.

 

* 로고를 없애보자

하단 Time Image에서 Fade값 0  -- 턴테이블 후 Play로 확인

Overlay이미지를 없애면 우측하단의 로고도 사라진다.

 

* Export로 동영상 저장(.mpg) 500k

  바로 옆 H를 적용하면 퀄리티 올라감. 거의 용량 5~6배. 모든 테스트를 끝낸 후 최종적으로 하면 되겠다.

 

 

 

* 크기가 작아서 크게 찍어보자

Modifiers에서 FrameSize(0.5디폴트)를 1로 해서 확인.  -- 화면에 보이는 크기와 비슷하게 출력됨. 1.12mb

--> Doc하단의 Large로 해서 Framesize0.5 뽑았을 때와 용량 동일함. Large, framesize1로 해도 동일

 

수정할 때는 일일이 턴테이블하지 않고 Playmovie로 확인 가능.

 

* 두 바퀴 돌릴때: Modifiers > Spin Cycles를 2로. -로 입력하면 왼쪽으로 돌아간다.

* 빨리 돌릴 때: Playback FPS를 낮추면 느리게, 높이면 빠르게 (기본48)  -- 잘 안됨? ㅋㅋ

* 화면 사이즈 조정: Document (정사이즈로 확인해보기. doc사이즈를 입력할 때는 Pro를 꺼야 비율연결이 꺼진다.)

 

 

+ Info: 로고는 별도의 이미지 파일을 넣을 수 있다. png투명값 안됨. 사이즈 그대로 입력

 

Doc size 500*500  : Framesize를 1로 해야 동영상 비율도 맞게된다.
이곳에 올려본 결과, Framesize를 1로 해야 비율이 정확하게 들어간다. 네잎의 경우 사이드 공간이 나옴.

 

 

 

실컷 해 놓구선 export하면 이런 메세지가 뜬다.

 

 삽질결과, 한글 폴더말고 D드라이브에 바로 영어로 저장했더니 된다. 뭐 이래............

 

 

  1. Load Movie
    *.zmv 파일을 불러온다.
  2. Save As
    영상을 *.zmv 파일로 저장한다.
  3. Play Movie
    Record를 이용해 저장된 영상을 재생한다.
  4. Export
    Record를 이용해 저장된 영상을 *mov파일로 Export한다.
  5. Record
    영상을 기록한다.
  6. Turntable
    모델이 360도 회전하면서 영상을 만든다.
  7. Snapshot
    한 장의 프레임을 저장한다.
  8. TimeLapse
    시간 경과를 저장한다. 마우스에서 손을 뗄 때에멘 저장한다.
  9. F History/B History
    SubTool이 선택된 시점을 기준으로 그 전/그 이후부터 녹화를 시작한다.
  10. Pause
    녹화를 잠시 중단한다.
  11. Doc/Window
    녹화되는 화면을 Document 사이즈로 설정할 것인지, Window 화면 사이즈로 설정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12. Large/Medium/Small
    화면의 크기를 선택한다.
  13. Delete
    Record를 이용해 저장된 영상을 지운다.

 

Modifiers

  1. Frame Size
    출력되는 화면의 크기를 조절한다.
  2. Auto Zoom
    0보다 큰 수를 입력하면 사용자가 Document Canvas를 이동하였을 때 자동으로 화면을 이동한다.
  3. Recording FPS
    Recording 프레임을 설정한다.
  4. Playback FPS
    재생 시 몇 프레임으로 재생할 것인지 결정한다.
  5. Snapshot Time
    Record로 녹화하는 중에 Snapshot 기능을 이용하여 영상 안에 1장의 프레임을 넣었다면 그 시간이 얼마나 지속될 것인가를 정한다.
  6. Skip Menus
    'On'시 녹화 중에 메뉴가 보이지 않는다.
  7. Antialized Cpature
    'On'시 안티알리아싱 효과를 적용한다.
  8. OnMouse
    커서가 모델에 위치했을 때에는 마우스를 보여주지 않고 커서가 모델을 수정하거나 메뉴를 선택할 때만 마우스를 보여준다.
  9. Cursor Size
    커서 크기를 결정한다.
  10. SpinFrame
    Turntable 관련 옵션으로, 몇 프레임에 한 바퀴가 돌 것인지를 정한다.
  11. Spin Cycles
    SpinFrame당 몇 바퀴를 회전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12. X/Y/ZScrn
    모델이 회전하는 축을 결정한다.
  13. HFrames
    부드러운 화면을 만들기 위해 프레임을 추가한다.
  14. HRecenter
    녹화 중 모델이 화면의 중간에 오도록 조절한다.
  15. HPosition
    녹화 중 모델의 위치와 크기 변화에 따른 위치를 재조정한다.
  16. HOrientation
    녹화 중 모델의 회전값을 재조정한다.
  17. Quality
    녹화된 영상의 압축률을 조절한다.
  18. Intensity
    영상의 질을 결정한다.
  19. Color
    영상의 컬러 비트 수를 결정한다.

 

TimeLine

  1. Load/Save
    *.zmo 파일을 불러오거나 저장한다.
  2. Show
    타임라인을 보여준다.
  3. ExportName
    모든 애니메이션을 타임라인에 MDD 파일로 출력한다.
  4. Go Previous
    이전 Key Frame으로 돌아간다.
  5. Go Next
    다음 Key Frame으로 넘어간다.
  6. TimeLine Magnification
    키간의 크기를 정한다.
  7. Load Audio
    타임라인에 사운드를 넣을 수 있다.
  8. Remove Audio
    사운드를 삭제한다.
  9. Duration
    재생될 시간을 결정한다.

 

TimeLine Track

TimeLine Track을 선택 설정한다.

  1. Edit
    수정할 수 있는 트랙을 선택한다.
  2. Link
    선택된 트랙과 연결되어 있는 다른 트랙을 확인할 수 있다.
  3. Enable
    트랙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Overlay Image

ZBrush Movie 안에 고정되어 있는 이미지를 삽입한다.

 

Title Image

ZBrush Movie가 시작하기 전에 몇 초간 화면이 등장할 것인지를 설정한다.

마음에 드는 머티리얼(ex: wax)을 카피하더라도 다른 파일을 불러왔을 때 Paste적용이 안된다.

머티리얼에서 Copy

근데, 하단 Preview를 껐다 켜거나 하면 될때도 있고...

평소에는 Paste하면 좌측처럼 나옴. 일반 SkinShade

우측은 wax환경에서 오브젝트 자체를 Paste함.

아니면 wax머티리얼이 적용된 초기 Sphere를 연 상태에서, Load Tool하면 된다.

좀 심플했으면 좋겠는데.. 이래 저래 혼란스러운 툴임 ; 

 Smart ReSym

 

▼ 다이나 메쉬를 건 오브젝트에서는 Smart ReSym을 걸어도 정확하게 나오지 않는다. 좌우 면 구조가 미세하게 대칭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는 미러 시킨후 미러앤웰드로 해야 좋다.

▼ 지리메셔의 경우, 당연히 면구조가 달라서 더 깨진다.

▼ 지리메셔가 대칭인 경우, 정확하게 먹힌다. 

ReSym은 어떤 기능?

 

 

▼ 미러 앤 웰드의 경우, L.Sym상태에서는 오브젝이 중심축을 벗어나더라도 로컬대칭이 먹는다. 

Symart ReSym의 경우, 중심축에서 벗어나면 로컬시켜도 먹지 않거나 비뚤어진다.(중심축에서 살짝 어긋날 때)

 

'CG정보 > Zbrus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브러시 턴테이블  (0) 2021.11.23
라이트박스의 wax 머티리얼 적용  (0) 2021.11.15
라이브 불린(Live Boolean), 다이나 메쉬  (0) 2021.10.09

합집합/차집합/교집합  

라이브 불린과 다이나 메쉬로 적용할 수 있다.

 

라이브 불린

- 메뉴생성 : Render > Render Boolean

라이브 불린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두 개의 서브툴이 겹치게 한 후, 

아래 서브툴의 값을 클릭해서 움직여 보도록 한다.

이 때 와이어(시+F)를 보면 다르게 나온다.

 

아직 최종 메쉬화되지 않았으므로,

1. 서브툴에서 Make Boolean Mesh시켜준다.

2. Make Boolean Mesh시킨 메쉬는 Tools에 UMesh라는 이름으로 등록된다.

3. Insert로 불러와서 4. 확인

5. 라이브불린을 비활성 시키면, 원래의 서브툴로 돌아온다.

 

Add Info 여러개의 오브젝트를 불린할 수 있다.

원에서 링과 실린더를 함께 차집합한 모습

 

불린은 3d프린팅의 관절 연결 시 많이 쓰인다.

 

 

다이나메쉬 방식

이래저래 해깔릴 수 있음. 

1. 스피어 그려서 다이나메쉬 -> 서브툴 복사해서 위치 이동. 

2. 하위 서브툴에서 차집합 체크하고 머지다운. 

3. 다이나메쉬 실행하면 빠진다. (웃긴게 2번에서 합집합을 체크해도 차집합으로 빠진다. 잘못 된 거 아님?)

4. 실행 취소 후 Sub와 And결과 확인. Add는 먹지 않는다.

웃긴 결론은, 2번에서 차집합이건 교집합이건 뭘 체크해도 다이나메쉬의 Sub와 And조정하면 된다는 결론.

뭐 이 따위인지....

 

위의 과정에서 2번 이후 다이나의 Create Shell을 하면 두께가 잡히면서 빠진다.

 합집합/교집합 모드에서는 Create Shell 안된다. 왠지 마음에 안들어....

 

 

 

참고 너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4VWXlld3rUI

 

 

 

다이나는 레졸루션을 올려야 겹치는 부분의 디테일이 유지. 라이브 불린은 다이나의 이런 단점을 보완해 줄 수 있음.

'CG정보 > Zbrus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브러시 턴테이블  (0) 2021.11.23
라이트박스의 wax 머티리얼 적용  (0) 2021.11.15
대칭에 대한 추가 이해 - Smart ReSym, Dynamesh  (0) 2021.10.10

오토데스크 제품을 잘 쓰다가 다른 제품이나 신버전 등을 테스트삼아 깔았다가

정품이 아니라는 팝업창 때문에 곤란한 경우가 있지요?

제어판 - 프로그램 제거에 가보면 autodesk genuine service라는게 의심스러워 제거를 시도해도 되지 않아요. 
그래서 제거하는 법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은 아래 사이트로 가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제 포스팅에도 첨부합니다.)

MicrosoftProgram_Install_and_Uninstall.meta.diagcab
0.21MB

)

참고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파일이고 사용이 쉬우니 안심하고 써도 될 것 같네요.

 

https://support.microsoft.com/en-us/topic/fix-problems-that-block-programs-from-being-installed-or-removed-cca7d1b6-65a9-3d98-426b-e9f927e1eb4d

 

Fix problems that block programs from being installed or removed

A subscription to make the most of your time

support.microsoft.com

해당파일은 오토데스크 뿐 아니라 다른 프로그램이 안지워질 때도 쓰면 되니 알아두면 되겠습니다.

 

MicrosoftProgram_Install_and_Uninstall.meta 라는 파일을 실행하시면 아래의 과정으로 제거를 시도하세요

 

1

 

2

 

3

 

4

 

5

 

 

끝나고 나서 제어판에 들어가면 아직 남아있는게 보입니다. 제거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뜹니다.

 

 



제거된 것이니 신경쓰지말고 재부팅하거나 나중에 다시 열어 확인해 보시면 제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저는 제어판안의 Autodesk License Service도 제거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