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집합/차집합/교집합
라이브 불린과 다이나 메쉬로 적용할 수 있다.
라이브 불린
- 메뉴생성 : Render > Render Boolean
라이브 불린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두 개의 서브툴이 겹치게 한 후,
아래 서브툴의 값을 클릭해서 움직여 보도록 한다.
이 때 와이어(시+F)를 보면 다르게 나온다.
아직 최종 메쉬화되지 않았으므로,
1. 서브툴에서 Make Boolean Mesh시켜준다.
2. Make Boolean Mesh시킨 메쉬는 Tools에 UMesh라는 이름으로 등록된다.
3. Insert로 불러와서 4. 확인
5. 라이브불린을 비활성 시키면, 원래의 서브툴로 돌아온다.
Add Info 여러개의 오브젝트를 불린할 수 있다.
불린은 3d프린팅의 관절 연결 시 많이 쓰인다.
다이나메쉬 방식
이래저래 해깔릴 수 있음.
1. 스피어 그려서 다이나메쉬 -> 서브툴 복사해서 위치 이동.
2. 하위 서브툴에서 차집합 체크하고 머지다운.
3. 다이나메쉬 실행하면 빠진다. (웃긴게 2번에서 합집합을 체크해도 차집합으로 빠진다. 잘못 된 거 아님?)
4. 실행 취소 후 Sub와 And결과 확인. Add는 먹지 않는다.
웃긴 결론은, 2번에서 차집합이건 교집합이건 뭘 체크해도 다이나메쉬의 Sub와 And조정하면 된다는 결론.
뭐 이 따위인지....
위의 과정에서 2번 이후 다이나의 Create Shell을 하면 두께가 잡히면서 빠진다.
합집합/교집합 모드에서는 Create Shell 안된다. 왠지 마음에 안들어....
참고 너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4VWXlld3rUI
다이나는 레졸루션을 올려야 겹치는 부분의 디테일이 유지. 라이브 불린은 다이나의 이런 단점을 보완해 줄 수 있음.
'CG정보 > Zbrus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브러시 턴테이블 (0) | 2021.11.23 |
---|---|
라이트박스의 wax 머티리얼 적용 (0) | 2021.11.15 |
대칭에 대한 추가 이해 - Smart ReSym, Dynamesh (0) | 2021.10.10 |